2025년 민생지원금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되지만, 거주 지역에 따라 추가 지급액이 달라지는 구조입니다.
이 글에서는
을 중심으로 지역별 지급 기준을 정리했습니다.
🟥 수도권 – 추가지원 없음
서울특별시, 경기도, 인천광역시는 민생지원금 기본 지급 대상이며, 별도의 추가 지급은 없습니다.
- 서울
- 경기
- 인천
🟩 비수도권 – 추가 3만 원 지급
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은 비수도권으로 분류되어 3만 원의 추가 지원이 주어집니다.
광역시도 포함이며, 아래 지역은 모두 해당됩니다.
- 부산, 대구, 광주, 대전, 울산
- 강원도, 충청북도, 충청남도
- 전라북도, 전라남도, 경상북도, 경상남도
- 제주도
🟦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– 추가 5만 원 지급
행정안전부에서 지정한 84개 시·군 농어촌 지역은 추가로 5만 원이 지급됩니다.
일부 비수도권 지역과 중복되며, 최대 8만 원까지 추가 가능해요.
대표 지역 예시:
- 강원도: 정선군, 화천군, 양구군, 인제군
- 충청권: 단양군, 보은군, 청양군, 서천군
- 전라권: 고흥군, 완도군, 장흥군, 장수군
- 경상권: 영양군, 봉화군, 의성군, 거창군, 함양군
※ 전체 리스트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📌 지역별 정리 요약표
지역 분류 | 대상 지역 | 추가 지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수도권 | 서울, 경기, 인천 | 없음 | 기본 지급만 해당 |
비수도권 | 수도권 외 전 지역 | +3만 원 | 광역시 포함 |
농어촌 인구감소지역 | 행안부 지정 84개 시·군 | +5만 원 | 중복 가능 |
중복 지역 | 비수도권 + 농어촌 | 최대 +8만 원 | 예: 전북 장수군 |
📍 지도 기반 정리 요약
한국 지도 기준 시각 정리:
- 🟥 수도권 – 서울, 경기, 인천 → 기본 지급
- 🟩 비수도권 – 전역 → 기본 + 3만 원
- 🟦 농어촌 – 비수도권 중 외곽 농촌지역 → 최대 5만 원 추가
예시:
- 광주광역시: 비수도권 → +3만 원
- 전북 장수군: 비수도권 + 농어촌 → +8만 원
- 서울특별시: 수도권 → 추가 없음
✅ 참고 링크